태조의 대 호족 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07:20
본문
Download : 태조의 대 호족 정책.hwp
확고한 지지세력을 얻기 위해서, 유력한 호족의 딸과 혼인을 하기도 ... , 태조의 대 호족 정책인문사회레포트 ,
이렇게 호족의 지원 호응을 얻기 위해 왕건이 기울인 노력은 실로 대단하였다. [data(자료)9] 그리고 왕건은 자신의 두 딸을 경순왕에게 출가시켰다.
때로는 유력한 호족들에…(투비컨티뉴드 )
이렇게 호족의 지원 호응을 얻기 위해 왕건이 기울인 노력은 실로 대단하였다.설명
이렇게 호족의 지원 호응을 얻기 위해 왕건이 기울인 노력은 실로 대단하였다. 확고한 지지세력을 얻기 위해서, 유력한 호족의 딸과 혼인을 하기도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태조의 대 호족 정책.hwp( 80 )
,인문사회,레포트
태조의 대 호족 정책



다. 이러한 혼인정책을 통해 각 지방의 대호족과의 결합은 굳게 하였다. 확고한 지지세력을 얻기 위해서, 유력한 호족의 딸과 혼인을 하기도 하였다. 왕건이 유력한 호족가의 딸을 부인으로 맞이한 것은, 호족의 결합을 굳건히 하려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었지만, 한편으로는 많은 자손을 두어 왕가의 기반을 다져 고려 왕실의 번성을 꾀하려는 면도 있었다. 태조는 29명의 부인에게서 25명의 왕자와 9명의 왕녀를 얻을 수 있었다. 『고려사』 후비(后妃) 열전에 의하면 왕건은 6명의 왕후와 23명의 부인을 맞고 있는데, 대체로 정략 결혼에 의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data(자료)8]. 918년 왕위에 오르기 전에는 부인은 신혜왕후(神惠王后) 유씨와 장화왕후(莊和王后) 오씨 두명뿐이었는데, 918년 왕위에 오른 후 적극적인 혼인정책을 추구하여 많은 부인을 맞이하였다. 부인들의 출신지는 황해도와 경기도에 12명이 집중되어 있고, 다음이 경상도, 그리고 기타 충청도 강원도 전라도 지역에 고루 분포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