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조 실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03:54
본문
Download : 조선 왕조 실록.hwp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역사를 사실적으로 쓴 세계 최대 규모의 역사기록물일 뿐 아니라 금속활자, 또는 목활자로 된 인쇄물이라는 점에서도 문화적으로 매우 가치가 있는 조선 왕조 실록에 대하여 설명한 리포트 입니다.
이후 《세종실록》부터는 실록을 편찬할 때마다 정초본(正草本) 외에 활자로 3부를 더 인쇄·간행하여 춘추관·충주·전주·성주의 각 사고에 1부씩을 보관하였다. 다만 태조·정종·태종 3대의 실록은 활자화하지 못하고 처음의 등사본을 그대로 보관하였다. 그 뒤 93년 내장산에서 실록을 넘겨받은 조정은 이를 해주(海州)로 옮기고 다시 강화도(江華島)·묘향산(妙香山)으로 옮겨 보관하다가 왜란이 평정된 뒤 실록 간행사업을 일으켜 1603년 7월부터 3년 동…(省略)
조선 왕조 실록
Download : 조선 왕조 실록.hwp( 12 )
역사(歷史)를 사실적으로 쓴 세계 최대 규모의 역사(歷史)기록물일 뿐 아니라 금속활자, 또는 목활자로 된 인쇄물이라는 점에서도 culture적으로 매우 가치가 있는 조선 왕조 실록에 대하여 설명한 리포트 입니다.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조선왕조실록






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춘추관·충주·성주 3사고의 실록은 모두 소실되고, 진주사고의 실록만이 선비인 안의(安義)와 손홍록(孫弘祿)에 의해 내장산(內藏山)으로 옮겨져 병화를 면할 수 있게 되었다.조선왕조실록 , 조선 왕조 실록인문사회레포트 ,
조선 시대의 실록은 1413년(태종 13) 《태조실록》을 편찬한 것이 처음이며, 26년(세종 8)에 《정종실록》, 31년(세종 13) 《태종실록》을 편찬한 후, 이 3대 실록을 각 2부씩 등사하여 1부는 서울의 춘추관, 나머지 1부는 충주(忠州) 사고에 보관하였으나, 보존이 염려되어 전주(全州)·성주(星州)에 사고를 증설하고 다시 2부씩을 더 등사하여 1부씩 나누어 보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