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제도와 직장생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14:43
본문
Download : 노동제도와 직장생활.hwp
노동제도와직장생활-11
노동제도와 직장생활에 대한 글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무원들은 정액임금 근로자이다.
북한은 1992년 2월 13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을 통하여 동년 3월 1일부로 식량공급 가격은 그대로 동결한 채 노동자, 농민, 기술자, 사무원의 임금을 43.4%, 사회보장연금을 50.7%, 쌀과 강냉이 수매 가격을 각각 26.2%와 44.8%씩 인상한 바 있다아 이러한 조건하에서 일반 노동자의 임금은 월average(평균) 80원에서 115원으로 인상된 셈이다.
1) 정액 임금제
「노동정량」, 즉 작업기준량을 정확히 계산할 수 없고, 노동의 결과를 수치적으로 평가하기 힘든 부문과 도급임금제를 적용하면 제품의 질이 떨어질 수 있거나 작업량이 제한되어 있는 부문의 근로자는 정액임금제의 적용을 받는다.
북한은 1962년부터 중앙의 국영기업소를 대상으로 독립채산제 실시하고 있다아 7…(省略)
설명
Download : 노동제도와 직장생활.hwp( 81 )
,경영경제,레포트
노동제도와 직장생활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노동제도와 직장생활에 대한 글입니다. 이와 달리 협동농장 농장원들의 기본노임은 결산분배에 의해 현물과 현금으로 지불받는다.노동제도와직장생활-11 , 노동제도와 직장생활경영경제레포트 ,
다.






제 1절 노동제도
1. 노동정책
2. 노동자 분류
3. 직장배치
제 2절 직장생활
1. 직업선택
2. 북한주민의 직업관
3. 직장의 일과
4. 임금
5. 휴가 및 휴일
물론 노동자와 사무원은 각각 정액임금제와 도급임금제의 보조적인 적용을 받는다. 물론 정액임금제에서도 작업한 노동시간과 기능, 기술, 자격정도에 따라 기본노임 액수가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경노동보다는 중노동일수록 더 많은 임금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원칙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아 이에 따라 대체로 사무원이 기술직보다 임금수준이 낮으며, 당·정기관에 종사하는 직종의 보수가 상대적으로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