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01:11
본문
Download : 대합.hwp
순서
대합
대합





나. 조위망식 양성
∙ 간조시에 간출되는 곳에서 양성하는 것
∙ 조위 시설
- 일정한 간격마다 말목을 세운 다음, 그물이나 대나무 등을 사용해서 바닥에서부터 30㎝ 이상, 바닥 밑으로 20㎝ 정도 되도록 조위시설을 함
- 조위시설을 이중으로 하는게 안전
- 말목은 나무 또는 철재 사용, 그물은 주로 화섬망을 사용 또는 비닐로 싼 철재 그물 사용
∙ 간석지 양성시 : 지반이 낮은 곳, 즉 간출시간이 짧은 곳
∙ 종묘의 방양 밀도 : ㎡당 mean(평균) 20~30개체 기준
∙ 해적생물 : 식해성 동물, 기생충, 양성장의 오염생물 및 적조생물
※ 식해성 동물 : 불가사리류, 문어, 고등류 및 물새무리
※ 대합류에 기생하는 기생충 : Cercaria pectinata(기생한 어린 개체들은 양성용 종묘로 사용하지 않도록 함)
※ 적조 대책 : 일반양식종의 관리 대책과 마찬가지로 발생 전에 유발요인들을 억제시켜 주는 것이 가장 효과(效果)적
다.대합 , 대합자연과학레포트 ,
다.
,자연과학,레포트
Download : 대합.hwp( 80 )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대합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수 확
∙ 개방식 양성인 경우 : 조개틀로써 채취
∙ 간석지에서 조위망식으로 양성하는 경우 : 손으로 직접 채취
∙ 육질의 비만
- 계절에 따라 다르나 산란기가 끝나는 10월경에 최저값을 보임
- 1월부터 4월 사이에는 유질이 전 중량의 약 25% 차지
산란기 직전인 6월경에는 최고값을 나타내어 약 30% 이상이 됨
∙ 수확기
- 가격이 가장 비싼 겨울에 수확
- 개방식 양성인 경우 : 그 이전 수확해서 축양한 다음 공급(겨울에 수확이 곤란함)
∙ 상품의 질 향상
- 수확한 대합류를 해수중에 수하시켜 9시간 정도 두…(省略)
대합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