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화 개 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10:30본문
Download : 영화개론.hwp
Download : 영화개론.hwp( 18 )
레포트/예체능
순서
1. 영화의 정이 (영화의 정이에 대한 history(역사) 적인 접근), , 2. 영화 비평(영화 비평의 중요성의 측면), 1) 영화비평의 토의적 성격, 2) 영화비평이 영화제작에 미치는 influence, 3) 영화비평은 관객의 감상을 높여 주어야 한다, , 3. 영화의 제작 과정, , 4. 영화의 history(역사) 와 흐름, ■ 외국 영화사, 1. 초창기 영화 (1895 ~ 1913), 2. 고전 무성 영화의 시기(1914 ~ 1926), 3. 토키의 도래와 영화 예술의 황금기(1927 ~ 1938), 4. 제2차 세계대전과 전후의 영화, 5. 새로운 영화를 위한 몸부림(1953-1970), 6. 영화 예술의 도약기(1971-1982), 7. 테크놀로지의 혁명과 아시아영화(1983-1992), 8. 현대 영화의 경향(1993- ), ■ 한국 영화사, 1. 광복 이전 (1923~1945), 2. 한국전쟁 직후, 3. 1960년대, 4. 1970년대, 5. 1980년대, 6. 1990년대, , , 파일크기 : 78K
영화,비평,영화의,제작,영화의,역사,예체능,레포트
영 화 개 론
1. 영화의 정의 (영화의 정의에 대한 역사적인 접근), , 2. 영화 비평(영화 비평의 중요성의 측면), 1) 영화비평의 토의적 성격, 2) 영화비평이 영화제작에 미치는 영향, 3) 영화비평은 관객의 감상을 높여 주어야 한다, , 3. 영화의 제작 과정, , 4. 영화의 역사와 흐름, ■ 외국 영화사, 1. 초창기 영화 (1895 ~ 1913), 2. 고전 무성 영화의 시기(1914 ~ 1926), 3. 토키의 도래와 영화 예술의 황금기(1927 ~ 1938), 4. 제2차 세계대전과 전후의 영화, 5. 새로운 영화를 위한 몸부림(1953-1970), 6. 영화 예술의 도약기(1971-1982), 7. 테크놀로지의 혁명과 아시아영화(1983-1992), 8. 현대 영화의 경향(1993- ), ■ 한국 영화사, 1. 광복 이전 (1923~1945), 2. 한국전쟁 직후, 3. 1960년대, 4. 1970년대, 5. 1980년대, 6. 1990년대, , , FileSize : 78K , 영 화 개 론예체능레포트 , 영화 비평 영화의 제작 영화의 역사
1. 영화의 definition (영화의 definition 에 대한 history적인 접근)
2. 영화 비평(영화 비평의 중요성의 측면)
1) 영화비평의 토의적 성격
2) 영화비평이 영화제작에 미치는 영향
3) 영화비평은 관객의 감상을 높여 주어야 한다
3. 영화의 제작 과정
4. 영화의 history와 흐름
■ 외국 영화사
1. 초창기 영화 (1895 ~ 1913)
2. 고전 무성 영화의 시기(1914 ~ 1926)
3. 토키의 도래와 영화 예술의 황금기(1927 ~ 1938)
4. 제2차 세계대전과 전후의 영화
5. 새로운 영화를 위한 몸부림(1953-1970)
6. 영화 예술의 도약기(1971-1982)
7. 테크놀로지의 혁명과 아시아영화(1983-1992)
8. 현대 영화의 경향(1993- )
■ 한국 영화사
1. 광복 이전 (1923~1945)
2. 한국전쟁 직후
3. 1960년대
4. 1970년대
5. 1980년대
6. 1990년대
화란 무엇이냐 하는 것을 theory 적으로 규명하고 인식하려는 최초의 문제제기는 영화란 과연 예술이냐, 비 예술이냐 하는 것이었다. 이 책에서 그는 현실을 모방하지 않고 그것을 變化시키고, 새로운 목적을 위해 그 속에서 특별한 면을 선택하고 세계를 변조하는 한 그것은 예술적이며, 그 점에 있어서 참으로 창조적으로 되는 것이다라고 말함으로써 그는 영화가 자연의 단순한 모방이며 다른 예술의 복사라는 데 대해 반론을 제기하고, 영화의 예술성을 옹호하고 나선 것이다. 그는 영화가 단순히 하나의 새로운 예술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전체적 총화의 예술이라고까지 내세웠다. 이에 비해 1916년 발간된 후고 문스터베르크의 <영화, 그 심리적 연구>에서 그는 랑게의 「영화 → 사진적 복제 → 비예술」이라는 사고를 부정하고 영화는 사진적 복제가 아니며 연극 또는 사진과는 다른 관객에서의 심리적 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데 유의하고 이 심리적 작용의 내용을 分析하는 것이 영화의 미적 성격, 예술적 측면을 theory 적으로 해명하는 방법이라고 믿었다. 그 후 1972년 까뉴도는 영화를 활동사진 또는 영화극이 아닌 제 7의 예술로 명명하고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예술의 등장을 옹호하고 나섰다. 결국 까뉴도는 영화를 제 7예술이라고 명명함으로써 영화가 독자적이며 새 시다의 가장 총체적인 예술임을 최초로 주정한 영화theory 의 선구자이지만, 동시에 영화를 다른 예술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파악하려 했다는 점에서 참된 선구자의 면…(투비컨티뉴드 )






설명
다. 영화는 문스터베르크와 더불어 theory 적으로도 새로운 예술로서 행세를 처음 한 것이다. 또한 그는 오늘날 미학에 있어서의 움직이는 원은 마지막에 영화라는 모든 예술의 총화를 가짐으로써 승리의 원을 끝맺음했다 라고 말했다. 1910년대에 랑게가 쓴 <현재와 future 의 영화>라는 글에서 랑게는 영화는 무엇보다도 움직이는 영상이며 그 영상은 현실을 너무나 그대로 재현하기 때문에 복사기술의 성격이 너무 강해서 창조적 미, 환상으로서의 미가 들어갈 여지가 없다는 結論(결론)을 내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