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합성어의 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2:08
본문
Download : 합성어의 기준.hwp
3.2.2 배열 순서
3.2.4 구성 성분 대치의 제한성
합성어의 기준
1. 서론
(6) ㉠ 나뭇잎 - 나무 잎
4. 결론
합성어, 문법, 형태론, 복합어, 음운변동
5. 참고 문헌
Download : 합성어의 기준.hwp( 88 )
(6㉠㉡)에서 합성어로 판단되는 ‘나뭇잎, 작은집’은 내적 확장이 불가능하나, 구로 판단되는 ‘나무 잎, 작은 집’은 ‘나무와 잎, 작은 초가집’등과 같이 내적 확장이 가능합을 알 수 있다아





3.3.1 의미의 특수화
3.1 음운론적 기준
다.
현대 국어에서 합성어가 매우 생산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그것은 합성어의 槪念, 구조 또는 합성의 방식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기반으로 한 것은 아닐것이다. A+ 받은 자료입니다. . 합성어를 엄정하게 정의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어서 거의 불가능하다고까지 이야기 될 정도이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3.2.1 분절성(分節性)의 여부
A+ 받은 자료(資料)입니다.
2. 합성어의 槪念
3.2. 형태, 통사론적 기준
3.2.3 내적 확장
3.3 의미론적 기준
설명
3.2.3 내적 확장
3.1.1 연접
3.1.3 음운변동
1. 서론
합성어의 기준 연구 리포트입니다. 가령, ‘논’은 합성어 성분으로 대치할 수 있는 형태가 ‘논귀, 논꼬, 논두렁, 논둑, 논머리, 논물, 논배미, 논보리, 논밭, 논풀, 논피’ 정도이지만 구에서는 뒤에 이어질 수 있는 성분에 제한이 사실상 없다고 할 수 있다아 그러나 이 기준은 애초부터 합성어라는 대상으로부터 연역된 것이므로 구분 기준으로 보기 어렵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3.1.2 강세, 장단(長短)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중 략>
㉡ 작은집 - 작은 집
합성어의 기준 연구 리포트입니다.
순서
본 글에서는 합성어의 槪念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알아보고 합성어의 기준을 구와 비교하여 살펴보고 합성어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자 한다. 실제로 합성어의 정의를 위해서 필요한 기준들에 관한 조사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만 그 중 어떤 하나만을 가지고 합성어 문제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이 지적되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3.2.4 구성 성분 대치의 제한성
3. 합성어의 기준
합성어를 구성하는 두 성분이 합성어를 이룰 때에는 결합하는 형태가 구에 비해 극히 제한적이다.